필리핀 민다나오 대학교(UP Mindanao;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Mindanao)

필리핀 민다나오 대학교(UP Mindanao;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Mindanao)
필리핀 민다나오 대학교(UP Mindanao;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Mindanao)


필리핀 민다나오 대학교 (UP Mindanao;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Mindanao)

1. 개요

  • 정식 명칭: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Mindanao (UP Mindanao, 약칭 UPMin)

  • 성격: 필리핀 국립 연구중심 종합대학 시스템(UP System)의 민다나오 유일 분교(Constituent University)

  • 설립: 1995년(공식 설립 법률: Republic Act 7889)

  • 위치: 필리핀 다바오시(Davao City) 투그복 지구 민탈(Mintal) 캠퍼스

  • 학생 규모: 2024–2025년 기준 약 1,500명 수준(신입생 정원 점진적 확대). 2025년 8월 중순 기준 신입생 400명대 등록 보고. 중장기 목표 "R2‑5K"(재학생 5,000명) 진행 중.

  • 교육 분야: 인문·사회, 자연과학, 컴퓨터·데이터사이언스, 건축, 스포츠과학, 경영/관리, 도시·지역계획 등

  • 기치: "Green University Town"(녹색 대학도시) 캠퍼스 비전, 민다나오 지역 발전 기여와 공공성 강조


2. 역사

  • 1995.02: RA 7889 제정으로 UP Mindanao 창설 결정.

  • 1995~1996: 도심 임시 캠퍼스 사용 후 민탈(Mintal) 부지 정착.

  • 1997: 엘리아스 B. 로페스(EBL) 기숙사 준공.

  • 2001~2011: 연구·봉사 조직 정비, 내부 도로(마긴다나오 로드, Mindanao Avenue) 확충, 경영대(SOM) 동 1단계, CHSS 문화복합동 등 핵심 시설 확장.

  • 2012~2019: 지역 연구거점 기능 강화, 필리핀 유전체센터 민다나오(PGC Mindanao) 출범(2019)으로 융합·오믹스 연구 인프라 확보.

  • 2020~2024: 하이플렉스 수업, 대학원 확대 기조.

  • 2025: 공대 대학원(화학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공학, 전기전자공학) 신설 발표, 의과대학(Doctor of Medicine) 개설 추진 공표. 지역사회 연계·포용적 선발정책 강화.


3. 주요 단과대학 및 학문 분야 (학부)

  • CHSS(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BA Anthropology

    • BA Communication and Media Arts

    • BA English (Creative Writing)

    • BS Architecture(건축)

    • BS Exercise and Sports Sciences(전공 트랙: Human Movement Science 등)

  • CSM(College of Science and Mathematics)

    • BS Biology

    • BS Computer Science

    • BS Data Science

    • BS Applied Mathematics

    • BS Food Technology

  • SOM(School of Management)

    • BS Agribusiness Economics(또는 Management Economics 유사 트랙 포함)

※ 학과/전공명은 연도별 세부 명칭 조정 가능. 복수전공/부전공 및 연구·현장실습(캡스톤) 기회 다수.


4. 대학원 및 전문대학원

  • 경영/관리 분야

    • Master in Management (MM): 논문 비중이 낮은 실무형 관리학 석사(복잡계·시스템 사고, 지역개발·공공/비영리 관리 포함).

  • 과학·수학·컴퓨터 분야

    • MS Biology, MS/PhD(연구중심) 트랙 운영

    • 제안·시범 단계: MS in Quantitative Methods & Modelling(정량모형/데이터·수리모형 융합)

  • 도시·건축·계획 분야

    • Diploma/MA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도시·지역계획 디플로마/석사, 사다리식 연계)

  • 스포츠과학/인체운동 분야

    • MS in Human Movement Science(운동과학 석사)

  • 공학 분야(하이플렉스 운영 계획)

    • MS/PhD in Chemical Engineering

    • MS/PhD in Data Science Engineering

    • MS/PhD i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 의학전문대학원(추진)

    • Doctor of Medicine(MD): 2025–2026 학년도 개설 목표로 단계적 준비(지역 공공보건 및 열대의학·헬스데이터 연계 지향)


5. 캠퍼스와 시설

  • 캠퍼스 성격: 도심-외곽형 "가든 캠퍼스". 민탈 일대 학·연 집적지(PSHS‐SMC 등 인근)와 연계.

  • 주요 시설

    • Administration Building(행정/강의), CHSS 문화복합동, SOM 빌딩(1단계), CSM 칸루란(Kanluran) 단지

    • University Main Library, Covered Gym, Human Kinetics Center(체육/공간 공유)

    • 연구 인프라: DOST‐SEI 지역 바이오테크 연구실, DFSC Sago Lab(지역 식물자원·식품기술), PGC Mindanao(오믹스/게놈·바이오인포매틱스)

    • 학생 공간: 오블레이션 플라자, 칼리무단(학생문화/행사), 학생언론 Himati 등

  • 접근성: 민탈/바고 오시오로(Bago Oshiro) 방면 도로망 개선, 내부 순환로 확충


6. 국제 평가 및 위상

  • UP 시스템 차원의 국제 순위·회원 활동의 수혜: QS WUR/Asia 순위권, AUN·APRU 등 국제 네트워크 참여. 분교 단위별 랭킹 공표는 제한적이나, 시스템 연구역량·동문 네트워크를 공유.

  • 지역 연구거점: PGC Mindanao(2019~), CHED 지역 연구허브 기능 수행, 수산·농식품·바이오·데이터 기반 지역 의제(ASF, 작물개량, 공중보건 데이터) 대응.

  • R2‑5K 어젠다: 2029년까지 교육규모 확대, 신설대학(공학·보건)의 단계적 론칭으로 남부 거점대학 위상 강화.


7. 입학 및 언어

  • 학부 일반(필리핀 고교 기준): 전국 대학수학능력시험(UPCAT) 성적 + 대학 배정. 2025년 8월 초 주말 기준 UPCAT 2026 시행. 합격 후 캠퍼스·전공 배정, 필요시 영어·필수교양 배치고사 진행.

  • 국제학력자(외국 고교/SAT·IB·A‑Level 등): 별도 전형 경로 운영(학교성적·표준화시험·영어능력 증빙 제출). 케이스에 따라 면제/대체 가능 항목 존재.

  • 편입/교환: 시스템 내 캠퍼스 혹은 타 대학에서 학점교류·편입 허용(학과별 심사).

  • 수업 언어: 영어 중심(인문·문화 관련 과목의 경우 필리핀어/지역언어 사용 가능). 영어능력 미달 시 대학 영어능력평가(EPT) 또는 보충과목 권장.


8. 교육 철학 및 가치

  • 공공성: 국립대학으로서 지역 불균형 해소와 공공서비스 실현.

  • 탁월성: 연구기반 교육, 캡스톤·현장 문제 해결형 수업.

  • 포용성: 민다나오 다문화·다언어 환경 존중(무슬림/원주민 공동체 연계 프로그램).

  • 지속가능성: 생태·지역지식 기반 공간 설계(그린 캠퍼스), 데이터·바이오 융합으로 지역문제 해결.


9. 졸업생과 영향력

  • 진출 분야: 공공정책·지방정부, ICT/데이터, 식품·생명과학, 농업/임업, 건축·도시, 문화콘텐츠/미디어, 체육·헬스케어, 금융·컨설팅 등.

  • 지역 임팩트: 다바오·소쿠사젠(SOX)·바방사모르(BARMM) 권역 산업과 연계. 창업·사회혁신 프로젝트 증가.

  • 동문 활동: DACUN(다바오 대학 네트워크) 및 지역 산업협회와 연계. 학내외 멘토링·인턴십 생태계 확장.


10. 종합 정리

  • UP Mindanao는 소규모 정예·연구중심·현장문제 해결형 교육을 지향. 2025년 이후 공학·보건 라인업이 더해지며, 데이터·바이오·건축/계획·경영의 융합 허브로 진화 중.


11. 학생 생활 (Student Life)

  • 동아리/학생자치: 학술(데이터·코딩·생명과학), 문화예술(연극·댄스·문예), 체육(러닝/축구/배구), 미디어/저널리즘(Himati), 봉사·환경 등.

  • 상징 행사: Tatak UPMin(신입생 문화), Kasadya(연말 축제), Mindanao‑themed 문화주간.

  • 스포츠: 실내체육관·운동장 기반 구기·라켓 종목 리그, UP System 대회 참여.

  • 다문화 경험: 민다나오 특유의 음식·언어·축제 체험(카다야완 등). 한국·일본·말레이·인도네시아 교류학생 소수 존재.


12. 기숙사 및 거주 환경

  • 캠퍼스 내: EBL Residential Hall(개보수 진행·배정 우선순위 운영), 추가 기숙사 신·증축 계획.

  • 캠퍼스 인근: 민탈·바고 오시오로·카탈루난 그란데 일대 하숙·아파트(보증금+월세). 학교-민탈 간 셔틀/지프니·버스·모터바이크 택시(합법) 활용.

  • 생활 편의: 대형마트·현지시장·세탁소·프린팅 샵 밀집. 코워킹/스터디카페 소수.

  • 보안/안전: 관할 바랑가이·캠퍼스 보안 협업. 야간 이동 시 동행·등록 차량 이용 권장.


13. 학비 및 기타 비용 (2025년 기준 ‘예상’)

  • 등록금(학부)

    • 필리핀 국적자: RA 10931(국가대 무료수업) 적용 대상일 경우 수업료 면제. 단, 유학생/비적용자 혹은 일부 특수과정은 등록금 부과.

    • 비필리핀 국적자(국제학생): 과목당 단가(예: 단위당 수천 페소 수준) + 외국인 부과금·기타비용 합산. 전공·학점·학기별 차이 큼.

  • 기타 공통 비용(대략)

    • 학기별 공과금·학생회비·실험/스튜디오 재료비 등: 2,000~10,000 PHP

  • 월 생활비(다바오, 1인 기준 보수적 범위)

    • 주거: 5,000~12,000 PHP(하숙/원룸) / 기숙사: 더 저렴하나 수용 제한

    • 식비: 6,000~10,000 PHP(캠퍼스·민탈 로컬식 기준)

    • 교통: 1,000~2,500 PHP(지프니/버스/그랩 혼용)

    • 통신: 500~1,000 PHP(프리페이드 데이터 포함)

    • 기타(세탁·프린트·잡비): 1,000~2,000 PHP

    • 합계: 월 13,500~27,500 PHP(전공 특성상 재료·현장실습 비용 추가 가능)

  • 대학원/전문대학원: 전공·이수단위·논문/프로젝트 여부에 따라 학기 총액 편차 큼. 공학/스튜디오·실험 중심은 재료·설비비 추가 고려.

※ 금액은 2025년 다바오 시세와 국립대 정책을 토대로 한 합리 추정치. 실제 고지서는 학기별로 상이하며, 환율 변동·정부 정책(무상수업·장학)·대학 이사회(BOR) 결정에 따라 바뀔 수 있음.


14. 입학 준비 과정 (학부 기준)

  • 타임라인(2025년 8월 기준, 2026학년도 입시 가정)

    • 3~4월: UPCAT/국제학력 전형 공지·원서 접수 개시(온라인 계정 생성, 학교기록 제출)

    • 5~6월: 서류 검증/고사장 배정, 장애·원거리 수험생 편의 신청

    • 8월 초 주말: UPCAT 실시(국내·해외 지정고사장). 모의고사·샘플문항 숙지 권장

    • 11~12월: 결과 발표·캠퍼스/전공 배정 희망 입력

    • 1~3월: 건강검진·영어/수학 배치평가·장학 신청

    • 7~8월: 등록/오티/수강신청

  • 준비물 체크리스트

    • 고교 성적표·졸업(예정)증명, 여권(국제학생), 표준시험(해당 시) 성적, 영어능력(필요 시), 추천서(전형별), 재정증명(국제학생 비자용)

    • 포트폴리오/도면(건축 지원 시), 실기/면접(해당 학과)


15. 졸업 후 진로 및 취업

  • 업계 수요가 큰 분야

    • ICT/데이터: 소프트웨어·데이터 엔지니어, 분석가, GIS/모델러(지방정부/스마트시티)

    • 바이오/식품: QA/QC, R&D, 공정·규정 준수, 지역 원료 고부가 제품 개발

    • 건축/도시: 건축사무소, 개발·도시재생, 공공 프로젝트(재난·회복탄력)

    • 스포츠·헬스: 운동처방, 스포츠 테크, 학교/지역 스포츠프로그램

    • 공공·개발: 지방정부, 공기업, NGO, 국제개발(농촌·어업·보건)

  • 진로 지원: 경력개발센터(CDO)·인턴십·현장실습, DACUN/산학협력으로 지역 일자리 연계. 졸업학기 취업페어·멘토링 정례화.


16. 기타 특이 사항

  • 법률로 설립된 UP System 유일 민다나오 분교(1995). 남부 거점대학 역할.

  • 하이플렉스 대학원(공학·운동과학 등) 도입으로 현직자 학습 가능성 확대.

  • 다학제 캡스톤: 데이터·바이오·건축/계획·경영이 만나는 지역문제 미션(축산 질병, 농식품 가치사슬, 재난·보건 데이터, 문화관광 등).

  • 캠퍼스 전경과 상징 조형(오블레이션)·원주민 문화요소를 반영한 건축디자인.


17. 국제 학생 입학 절차 ‘실제 예시’(한국 고교생 기준)

  • 가정: 한국 고교 3학년 A군(자연계), 희망전공 BS Data Science

  • 1단계(3~4월): 온라인 계정 생성 → 여권 스캔, 고교 성적·영문 번역본 업로드 → 국제학력(IB/A‑Level/SAT 중 해당사항) 입력

  • 2단계(5~6월): 영어능력 증빙 준비(TOEFL iBT/IELTS/대학 EPT 등) → 재정증명(예: 1년 예상 경비), 예방접종 기록, 건강진단 준비

  • 3단계(8월): UPCAT 응시 또는 국제학력 대체 경로 확정(학과 요건 재확인). 건축 등 포트폴리오 전형은 별도 제출.

  • 4단계(11~12월): 합격 통보 후 캠퍼스/전공 확정 → 등록절차(고지서 납부, 학생번호 발급)

  • 5단계(1~3월): 학생비자 9(f) 신청(입학허가서·재정증명·NBI 혹은 해당국 범죄기록 대체서류·의료검사). 주필 한국 대사관/영사관 절차 준수.

  • 6단계(7~8월): 다바오 도착 → 기숙사/하숙 입주 → 오리엔테이션(EPT/수학 배치평가 포함 가능) → 수강신청

  • 체크포인트

    • 예방접종·보험: 현지 의료보험/여행자보험 준비, 예방접종 국제증서

    • 금융/통신: 현지 은행계좌(학생증+여권), 프리페이드 유심 개통

    • 안전: 야간 이동은 등록 차량·공유 호출 이용, 현금 분산 보관


18. 캠퍼스 탐방 가상 체험 (Virtual Campus Tour)

  • 정문/오블레이션 플라자: UP 상징 조형 앞 포토스팟. 행사 시 플리마켓·퍼포먼스가 펼쳐짐.

  • Administration Building: 행정·강의 중심. CHSS/SOM 일부 강의실 위치.

  • Human Kinetics Center: 체육활동·댄스 연습·탁구장. 체력증진 과목 인기.

  • University Main Library: 열람/전산·멀티미디어실·소그룹룸. UP Press 부스·복합기.

  • CHSS Cultural Complex: 원주민·민다나오 문화 전시/공연/워크숍 허브.

  • CSM Kanluran 단지: 생물·수학/물리/컴공·식품과학 실험실과 강의동.

  • DFSC Sago Lab: 지역 특산 사고(Sago) 관련 식품기술 연구 시연.

  • PGC Mindanao: 오믹스·분자진단/생물정보 허브(투어는 사전 승인 필요).

  • SOM Building: 대형 강의실·세미나실·기업·정부 파트너십 이벤트 다수.

  • Covered Gym: 교내 리그·행사·오리엔테이션. 우천 시 대체 공간.

  • EBL Residential Hall: 기숙사 동선·공용부(키친/세탁) 확인.

  • Mindanao Avenue 산책: 캠퍼스 축선 도로, 저녁 노을 맛집(모기 스프레이 필수).


19. 한국인 학생 생활 노하우 (Tips for Korean Students)

  • 수업 적응: 초기 4주가 관건. 영어 노트 정리 → 스터디·오피스아워 습관화. 필리핀식 발표·협업 문화에 빨리 적응하기.

  • 과제/프로젝트: 지역사회·현장 조사 과제가 많음. 주말 필드워크 일정은 미리 팀과 조율.

  • 식생활: 캠퍼스·민탈 일대 저렴한 현지식 활용 + 한국 식재료(고추장/김/라면) 소분 휴대. 다바오 도심 한인마트 방문 루틴 만들기.

  • 기후/건강: 고온다습·스콜. 선크림·방수 파우치·보조배터리 필수. 수인성 질환 예방(생수/위생) 철저.

  • 이동/안전: 밤 10시 이후 단독 보행 지양, 차량호출 앱 이용. 현지 유심(월 데이터)로 지도·연락 유지.

  • 행정: 학생증 발급 후 은행계좌/교통카드·도서관 이용 활성화. 비자연장·여행허가 일정 캘린더에 고정.

  • 커뮤니티: 코리안 스튜던트 소셜·현지 한인회 행사·교회/동호회 통해 네트워크 구축.


20. 졸업 후 필리핀 혹은 한국에서의 취업 연결 사례(유형별)

  • 유형 A(데이터/ICT): BS CS/DS → 다바오·마카티 IT서비스(개발/데이터분석) → 한국계 지사/원격 근무 → 한국 이직 시 포트폴리오·해외 프로젝트 강점.

  • 유형 B(바이오/식품): BS Bio/FT → 지역 식품·농산물 가공기업 QA/R&D → 다국적 식품사 품질직군 → 한국 식품·바이오 스타트업 이직.

  • 유형 C(건축/도시): BS Arch → 로컬 스튜디오 실무 → MAURP 진학 → 공공·스마트시티 프로젝트(필리핀/한국 ODA·컨설팅) 참여.

  • 유형 D(경영/공공): BS Agribiz/경제 → 지방정부/개발프로젝트 → MM 석사 → 프로젝트 매니저·정책분석가 트랙.

  • 유형 E(스포츠/헬스): BS ESS → 피트니스·스포츠팀 데이터/피지컬 코치 → MS HMS 진학 → 병원/헬스테크 기업.


빠른 Q&A(2025)

  • Q. 수업은 영어인가요? → A. 네. 전공·교양 대부분 영어. 인문·문화 과목에 필리핀어·지역언어 일부 병행.

  • Q. 등록금은 정말 ‘무료’인가요? → A. 필리핀 시민 중 요건 충족자는 수업료 면제. 국제학생·특수과정은 등록금 발생.

  • Q. 기숙사 자리 있나요? → A. EBL 중심으로 배정되며 수용 한계. 신입생·원거리·필요 우선 순위.

  • Q. 새로 생긴 대학원은? → A. 공학계열 3개(화학·데이터사이언스·전기전자) 하이플렉스 도입. 스포츠과학·도시계획·경영 석사 운영.

  • Q. 의대는 언제? → A. 2025–2026 학년도 개설 목표로 준비 고도화 중(세부 요건은 추후 공지 기준).


21. 장학금 종류

UP Mindanao는 국립대학답게 다양한 장학 제도를 운영한다.

  • UP System 장학금: 성적 우수자 및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등록금 면제 또는 감면.

  • 정부 지원 장학금: 필리핀 정부의 CHED(Commission on Higher Education) 장학금 및 지역사회 개발 관련 지원.

  • 민간/외부 장학금: 기업 및 NGO에서 제공하는 연구·프로젝트 장학금.

  • 국제학생 장학금: 일부 국제학생을 대상으로 학비 감면 또는 생활보조금 제공.

  • 근로 장학제도(Student Assistantship): 캠퍼스 내 행정·도서관 근로를 통해 등록금 일부 감면.

이 장학금들은 성적, 경제적 필요, 연구 성과 등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필리핀 민다나오 대학교(UP Mindanao;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Mindanao) 홈페이지

댓글 쓰기

본 블로거 방문자(사용자)가 게시글을 작성후 문제 발생시 게시글을 삭제할 수 있으며,
또한 블로거 방문자(사용자)을 차단됨을 알려 드립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