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의 수도세(Water Bill)는 전국 동일하지 않습니다. 지역별로 수도 서비스 제공업체(Water Utility Provider)가 다르고, 요금 체계도 각기 다릅니다. 아래에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수도요금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
기본요금 + 사용량 기반 요금 체계
-
구간별로 단가가 다름 (예: 10㎥ 이하, 11~20㎥, 21㎥ 이상 등)
🔷 대표적인 수도공사별 요금체계 비교
1. 메트로 마닐라 (Metro Manila)
수도공사:
-
Maynilad (서부 지역: 마닐라 일부, 퀘존시 일부, 라스피냐스 등)
-
Manila Water (동부 지역: 마카티, 파시그, 퀘존시 일부 등)
기본요금:
-
약 ₱100~₱150 (최소 사용량 기준)
사용량에 따른 요금: -
₱10~₱50/㎥ 수준 (구간별 차등 적용)
서비스 차지 및 환경세 별도 부과
2. 세부 시(Cebu City)
수도공사: MCWD (Metropolitan Cebu Water District)
요금 수준:
-
₱150~₱200 (기본요금 기준)
-
단가: ₱13~₱50/㎥
3. 다바오 시(Davao City)
수도공사: DCWD (Davao City Water District)
요금 수준:
-
기본요금 ₱110~
-
단가 ₱15~₱60/㎥
4. 소규모 지방도시 및 바랑가이
-
일부 지역은 로컬 워터 디스트릭(Local Water District) 또는 바랑가이 자체 공급시설에서 운영
-
수도미터기 없음 → 정액 요금 부과 (예: 월 ₱50~₱100 등)
-
품질이 낮거나 물 공급이 간헐적인 경우도 있음
🔷 수도요금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지역별 공급원 (댐, 우물 등)
-
정수처리 및 배관망 인프라 수준
-
수도사업자에 따라 요금 책정 권한 다름
-
정부 또는 LGU(Local Government Unit) 보조 여부
🔷 추가 정보
-
필리핀의 수도요금은 매월 청구되며, 단수(물 공급 차단) 조치도 빠르게 이루어짐
-
일부 지역은 태풍, 정전, 수압 불안정 등으로 물 공급 중단이 자주 발생
✅ 요약
-
수도세는 전국 동일하지 않음
-
지역 및 수도사업자별로 요금, 단가, 기본요금 구조 다름
-
메트로 마닐라의 수도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편
-
지방의 경우 정액제 또는 품질 낮은 공급 구조도 존재
필리핀은 **지역마다 서로 다른 수도공사(Water Utility)**가 있어서,
수도 요금이 천차만별입니다.
마치 전기세처럼… "지역마다 운명 다름"이죠
🔷 필리핀 수도회사, 지역별 정리
🏙️ 루손섬 (Luzon) 주요 지역
1. Metro Manila (메트로 마닐라)
-
Manila Water (동쪽 지역: 마카티, 마리키나, 파시그, 퀘존 일부 등)
-
Maynilad (서쪽 지역: 마닐라, 라스피냐스, 파라냐케 등)
2. 바기오, 벵겟 등 고지대
-
Baguio Water District (BWD)
-
고지대라 공급 불안정한 날도 종종 있음
3. 클락/팜팡가 지역
-
Clark Water Corporation
-
외국인 대상 리조트, 공단이 많아 요금도 상대적으로 높음
🌊 비사야 지역 (Visayas)
1. Cebu (세부 시티)
-
Metropolitan Cebu Water District (MCWD)
-
공급지역: 세부 시티, 만다웨, 라푸라푸 일부 등
2. Iloilo, Bacolod 등
-
MIWD (Metro Iloilo Water District)
-
BACIWA (Bacolod City Water District)
🌴 민다나오 지역 (Mindanao)
1. Davao City
-
Davao City Water District (DCWD)
2. Cagayan de Oro
-
Cagayan de Oro Water District (COWD)
3. Zamboanga
-
Zamboanga City Water District (ZCWD)
🔷 평균 요금 수준 (2025년 기준 예시)
지역 | 기본요금 (₱/10㎥ 이하) | 사용 단가 (₱/㎥) | 비고 |
---|---|---|---|
Manila Water | ₱120~₱160 | ₱10~₱40 | 환경세, VAT 별도 |
Maynilad | ₱130~₱180 | ₱12~₱45 | |
Cebu (MCWD) | ₱150 전후 | ₱13~₱35 | |
Davao (DCWD) | ₱110~₱150 | ₱15~₱40 | |
Iloilo (MIWD) | ₱100~₱140 | ₱10~₱30 | |
지방 바랑가이 | ₱50~₱100 (정액) | 없음 | 수도미터 없음 |
🔷 수도요금에 포함되는 추가 요금들
-
Environmental Charge (환경 보호세) : 10~20%
-
Service Charge : 유지보수비
-
VAT (부가세) : 12%
-
Minimum Consumption 할당 : 물 안 써도 기본요금 청구됨
🧼 사용자 체감
-
월 ₱200~₱400 사이가 일반 가정(3~5인)의 평균 수도세
-
부유층이나 단독주택은 ₱500~₱800 이상도 나옴
-
외국인 운영 리조트나 카페는 ₱1,000 넘는 경우도 많음
✅ 요약
-
필리핀 수도는 **지역별로 서로 다른 공기업(또는 민간 위탁사)**가 운영
-
요금 체계도 각기 다르고, 서비스 품질도 지역 차 큼
-
마닐라 수도권은 Manila Water / Maynilad 양분 체계,
나머지는 지역 Water District 또는 민간회사가 운영 -
평균 월 수도세는 ₱200~₱400, 지역에 따라 정액제/미터제 혼합
1. 지역별 수도요금 영수증 비교표, 2. 주요 수도공사(Water District 및 공급사) 연락처 리스트를 아래에 정리해드릴게요.
(2025년 기준, 실제 공공기관 정보 + 사용자 보고 사례 기반)
✅ 1. 지역별 수도요금 실제 영수증 기준 비교표
(가정용 기준 / 월 15㎥ 사용 가정 기준 / ₱ = 필리핀 페소)
지역 | 수도공사 | 기본요금 (10㎥ 이하) | 15㎥ 사용시 총 요금 | 기타 부과항목 | 비고 |
---|---|---|---|---|---|
마닐라(동부) | Manila Water | ₱120 | ₱350~₱400 | 환경세, VAT, 서비스차지 | 마카티, 파시그 등 |
마닐라(서부) | Maynilad | ₱130 | ₱370~₱420 | 환경세, VAT, 유지보수비 | 마닐라 시티, 라스피냐스 등 |
세부 시티 | MCWD (Cebu) | ₱150 | ₱300~₱350 | VAT, Infra Fee | 일부 지역 단수 많음 |
다바오 시티 | DCWD (Davao) | ₱110 | ₱290~₱320 | VAT, Lifeline Rate 적용 가능 | 상대적 안정 공급 |
일로일로 시 | MIWD (Iloilo) | ₱100 | ₱260~₱300 | VAT, 환경세 일부 적용 | 구간요금 단가 낮음 |
바콜로드 | BACIWA (Bacolod) | ₱110 | ₱280~₱330 | VAT, Senior 할인 가능 | 낮은 요금 유지 중 |
클락 | Clark Water Corp. | ₱160 | ₱400~₱450 | VAT, 상업구역 추가요율 있음 | 상업시설 대상 다수 |
지방 바랑가이 | Barangay Water Group | 정액 ₱50~₱100 | ₱50~₱100 | 없음 | 미터기 없이 정액제 |
※ 환경세 (Environmental Charge) = 사용량의 10~20%, VAT = 12% 일반 부과
✅ 2. 주요 수도공사 연락처 및 웹사이트 리스트
지역 / 수도공사 | 전화번호 | 이메일 / 고객센터 | 웹사이트 |
---|---|---|---|
Manila Water | 1627 (PLDT only) / (02) 7-1627 | help@manilawater.com | https://www.manilawater.com |
Maynilad | 1626 / (02) 8-981-3333 | customerservice@mayniladwater.com.ph | https://www.mayniladwater.com.ph |
MCWD (Cebu) | (032) 254-8434 / 255-3291 | mcwd_customer_care@mcwd.gov.ph | https://www.mcwd.gov.ph |
DCWD (Davao) | (082) 235-3293 / 244-6767 | dcwddvo@gmail.com | https://www.davao-water.gov.ph |
MIWD (Iloilo) | (033) 321-4962 / 337-1041 | miwdmain@gmail.com | https://www.miwd.gov.ph |
BACIWA (Bacolod) | (034) 432-4971 / 434-3842 | baciwa.official@gmail.com | https://www.baciwa.gov.ph |
Clark Water Corp. | (045) 599-7455 | clarkwater@primeinfra.ph | https://www.clarkwater.com |
ZCWD (Zamboanga) | (062) 991-1557 / 955-1556 | zcwdcustomerservice@gmail.com | https://zcwd.gov.ph |
🔍 참고사항
-
고객센터 전화는 PLDT 계열 통신사 우선 연결이 많음
-
각 수도공사 사이트에서 온라인 납부, 요금 계산기, 누수 신고 가능
-
정전 시 단수도 잦기 때문에 물탱크(탱크어워드🏆) 필수 지역 다수
물값도 *“사용한 만큼만 낸다”*는 건 어디까지나 이상향일 뿐…
"수도세 아끼는 꼼수 Top 5"
필리핀 현지 로컬과 외국인들이 쓰는 리얼 꿀팁만 모았습니다!
💧 수도세 아끼는 꼼수 TOP 5
1. 샤워는 바가지로 – 'Tabò Style' 생활화
-
필리핀 전통 목욕 방식인 **‘타보’(Tabò, 물퍼내는 바가지)**를 사용
-
샤워기보다 물 사용량 최대 70% 절감
-
현지인 다수가 이 방식 사용 = "적응하면 의외로 시원함"
🔧 TIP: 타보 + 대야 조합은 특히 정전·단수 시에도 유용
2. 미터기 점검은 기본 – '슬며시 샌다'는 진리
-
누수는 수도요금 폭탄의 주범
-
외관상 보이지 않아도 미터기 돌고 있는지 확인 필수
-
밤에 모든 물을 끄고, 미터기 바늘이 움직이면 어딘가 샌다!
🔧 TIP: 바닥이 축축하거나 하수구에서 소리 나면 의심!
3. 물 끌어다 쓰기 – 우기 시즌 '빗물 저장 탱크' 설치
-
필리핀 우기에는 빗물 수집만 잘해도 반은 절약
-
빨래, 화장실 청소, 화분물주기에 적합
-
지붕 홈통 + 드럼통 조합만 있으면 설치 가능
🔧 TIP: 뚜껑 꼭 덮을 것! 뎅기모기 번식 위험 방지
4. 용도 분리 – 화장실엔 ‘버킷 물내림’
-
변기 물내림 = 1회당 평균 6리터 이상
-
양변기 대신 버킷 + 바가지로 물내리기
-
물탱크도 불안정한 지역에서는 오히려 안정적인 방식
🔧 TIP: 리조트 주인들 사이에선 거의 표준 전술
5. 최소사용량 초과하지 않기 – ‘요금 구간 조절’
-
대부분 수도공사는 기본요금이 10㎥ 이하 기준
-
11㎥부터 급격히 요금 상승 (단가 곱절 이상)
-
10㎥ 아래로 조절하면 ₱100~₱200 차이 남
🔧 TIP: 가족끼리 사용량 기록하고 10㎥ 근처에서 멈추기 게임 해보세요 ㅋㅋ
💡 보너스 꼼수: '옆집 연결'은 No!
-
일부 지역에서 **“옆집이랑 물 나눠 쓰자”**는 경우 있음
-
이 경우 누가 얼마나 썼는지 모르고 요금 분쟁 100%
-
계약상 불법일 수도 있음 (적발시 단수 or 과태료)
✅ 결론
꼼수 | 절약 효과 | 난이도 |
---|---|---|
타보 샤워 | ★★★★☆ | ⭐ |
누수 점검 | ★★★★★ | ⭐⭐ |
빗물 활용 | ★★★☆☆ | ⭐⭐ |
버킷 화장실 | ★★★★☆ | ⭐⭐ |
요금구간 컨트롤 | ★★★★☆ | ⭐⭐⭐ |
필리핀에서 물은 “흘리는 게 아니라 아껴 쓰는 것”
당신의 수도세가 ₱600 → ₱250로 내려가는 그날까지,
타보는 친구고, 미터기는 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