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변호사 시험(Philippine Bar Exam)과 변호사 숫자 통계

필리핀 변호사 시험(Philippine Bar Exam)과 변호사 숫자 통계

필리핀의 **변호사 시험(Philippine Bar Exam)**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어려운 시험 중 하나로 꼽히며, 극도로 낮은 합격률과 엄격한 출제 형식으로 유명합니다. 아래에 시험 구조, 응시 자격, 통계, 최근 변화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I. 필리핀 변호사 시험 개요 (Philippine Bar Examination)

항목 내용
주관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대법원)
근거 법령 Rule 138 of the Rules of Court
시험 목적 법률 전문직 입문을 위한 유일한 국가시험 (필리핀에서는 사법고시 제도는 없음)
시행 시기 매년 11월 또는 12월 (과거엔 9월)
장소 마닐라 소재 대학에서 통합 시행 (2023년부터 디지털 CBT 방식 병행)

📝 II. 응시 자격

요건 내용
학력 요건 필리핀 대학교의 법학 학사(Law Degree) 또는 외국 대학 졸업 후 인증된 정식 JD/LLB 과정 이수
예비시험 없음 (단, 모든 법률 과목을 필수 이수해야 함)
등록서류 - Law School Transcript of Records- Certificate of Good Moral Character- Affidavit of No Criminal Record- NSO Birth Certificate
응시료 약 ₱3,500~₱6,000

📚 III. 시험 과목 및 구조

시험 과목 설명
① Political Law & Public International Law 헌법, 인권, 국제법
② Labor Law & Social Legislation 노동법, 사회보장제도
③ Civil Law 민법, 가족법, 상속법 등
④ Taxation Law 조세법
⑤ Commercial Law 회사법, 보험, 수표법 등
⑥ Criminal Law 형법, 특별형법 등
⑦ Remedial Law 민형사 소송절차, 증거법
⑧ Legal Ethics & Practical Exercises 윤리, 변호사 직무 연습문제

🧠 총 4주 동안 일요일마다 2과목씩 시험
✍️ 과거엔 서술형 100%, 최근엔 디지털 기반 CBT(Computer-Based Test)로 일부 전환


📉 IV. 합격률 통계 (최근 5개년)

연도 응시자 수 합격자 수 합격률
2019 7,685 2,103 27.37%
2020 (코로나로 연기) - -
2021 11,402 8,241 72.28% ✅ (사상 최고 – MCQ 기반 CBT 도입)
2022 9,183 3,992 43.47%
2023 10,387 3,812 36.71%

📝 평균 합격률은 20~30% 수준, 단 2021년 팬데믹 특수로 예외적으로 70% 돌파


👨‍⚖️ V. 필리핀 변호사 숫자 및 분포

구분 통계 (대략)
등록된 변호사 수 85,000명 이상 (2024년 기준)
실제 활동 변호사 수 50,000명 내외 (나머지는 은퇴, 공무원, 미활동 상태)
지역별 분포 마닐라 & NCR 약 70% 집중  지방(Visayas/Mindanao)은 변호사 부족 현상
여성 비율 약 40% 이상이 여성 (최근 합격자 기준 50% 초과)
직업 분포 30%: 로펌 소속 , 25%: 정부/검찰/법원 , 20%: 기업 사내변호사 , 15%: 독립 사무소 , 10%: 학계/비영리/해외 활동

🔄 VI. 최근 변화와 개혁

항목 내용
디지털화 2020년 이후 필기시험 → CBT 기반 디지털 전환 (시험지 유출 방지, 시간 관리 강화)
시험 형식 변화 MCQ(객관식) + Essay 혼합 형식 시험 도입 (2021년 이후)
시험 기간 단축 과거 4주 → 2주 또는 3일 집중형 시험 도입 논의
실무 중심 강화 Legal Ethics, Notarial Practice, 실무연습 문제 비중 증가
"Regional Bar Exam" 제도 시범 운영 지방에서도 응시 가능하도록 분산형 시험 운영 시작 (다바오, 세부 등)

🧾 VII. 시험 합격 후 과정

항목 내용
Oath Taking Ceremony Supreme Court에서 변호사 선서식
Roll of Attorneys 등록 공식 변호사 명부(Roll of Attorneys)에 등재되며 법적 자격 취득
IBP 등록 Integrated Bar of the Philippines 가입 (의무)
Notarial Commission 신청 가능 변호사 공증 자격 취득

✅ 요약

항목 내용
필리핀 변호사 시험 Supreme Court 주관, 8과목 시험, CBT 도입
합격률 평균 20~30%, 2021년 예외적 72%
응시 자격 법대 졸업, 도덕성 인증, 무범죄
변호사 수 약 85,000명 등록, 활동 중 약 50,000명
최근 개혁 디지털화, MCQ 도입, 지방 시험 확대 등

**필리핀 변호사 시험(Philippine Bar Exam)**의 기출문제 예시와 출제 경향 정리.


✍️ 1. 에세이(Essay) 문제 예시

▸ Constitutional / Political Law

  • **“Hierarchy of civil liberties”**의 의미를 설명하고, speech, assembly, property 등의 권리 사이에 어떤 우선순위가 있는지 논하시오.

  • Rule 112 §8(a)의 위헌성: 심문 전 즉시 형사 고소장(information)을 제출하는 검사의 권한이 헌법상 피의자의 권리에 위배되는지 평가하시오.

▸ Civil Law

  • 공동 유언(joint will)의 효력: 외국에서 작성된 공동 유언의 필리핀 내 유효성 여부에 대해 논하시오.

  • 불확정 자녀의 친자관계(filiation) 확인 청구: 생전에 인지하지 않은 경우, 사망 후 친자확인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논하시오.

▸ Criminal Law

  • 불능범(impossible crime)과 음모(conspiracy)의 구별: 범죄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 형법상 처벌할 수 있는지 논하시오.

  • 형사 관할권의 영토성 원칙: 필리핀 밖에서 발생한 범죄행위에 대해 국내법으로 재판할 수 있는지 판단하시오.


✅ 2. 객관식(Multiple Choice Questions) 예시

  • Constitutional Law:
    헌법 개정 제안에 필요한 상원의 투표 비율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A) 1/2 majority
    B) 2/3 majority
    C) 3/4 majority
    D) Simple majority

  • Civil Law:
    다음 중 유효한 유언으로 인정되지 않는 것은?
    A) 증인이 한 명 빠진 자필 유언
    B) 공증 없이 작성된 유언
    C) 17세 미성년자가 작성한 유언
    D) 사망 3일 전 병상에서 작성된 유언

  • Criminal Law:
    Conspiracy가 인정되기 위한 요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공범 간 단순한 교류
    B) 범행 후 공모
    C) 사전 합의와 공동 실행의사
    D) 증거 없이 추측에 근거한 판단


📂 3. 과목별 기출 경향 요약

과목 주요 출제 유형 특징
Constitutional Law 사례형 에세이, 조문 해석 국가기관 간 관계, 기본권 충돌 사례 다수
Civil Law 유언, 계약, 친자관계 가족법 및 상속 관련 문제 비중 높음
Criminal Law 불능범, 예비죄, 공동정범 형벌의 정당성, 형법 이론 위주
Labor & Social Legislation 해고 사유, 노동 계약 회사와 직원 간 분쟁사례
Commercial Law 어음, 회사법, 보험 계산문제보다는 법리 적용 사례
Remedial Law 소송 절차, 관할권 절차법 조항 직접 인용 필수
Legal Ethics 윤리 위반 사례 변호사 징계, 이해상충 문제 등

🎯 준비 전략 팁

  1. Essay 문제 연습 시 구성 추천

    • ISSUE → RULE → APPLICATION → CONCLUSION (IRAC) 구조로 서술

    • 간결하고 조문 중심, 판례 인용 시 간단 요약

    • 논쟁이 가능한 문제는 양측 주장을 모두 제시

  2. MCQ 문제 풀이 팁

    • 문제 속 조건(예: 연령, 시간, 요건 충족 여부)에 집중

    • 객관식 문제는 “정답이 아닌 것”을 고르게 하는 형식도 많음

  3. 최신 출제 경향 파악

    • 2021년부터 CBT 기반 시험 도입 → 시간 관리, 타이핑 실력 중요

    • 판례 기반보다는 법 조문 적용 및 기본 원칙에 초점


📌 정리

항목 내용
시험 구성 8개 과목 (Essay + MCQ 혼합)
최근 트렌드 CBT 기반 시험, 사례 중심 문제 다수
고득점 팁 법조문에 충실한 답변 + 간명한 판례 인용
연습 방법 실제 기출문제 모의풀이 → 자가 채점/피드백


댓글 쓰기

본 블로거 방문자(사용자)가 게시글을 작성후 문제 발생시 게시글을 삭제할 수 있으며,
또한 블로거 방문자(사용자)을 차단됨을 알려 드립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