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에 있는 고립된 부족

 여러 부족을 역사, 문화, 생활 방식, 신앙, 현대 사회와의 관계 등을 포함해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


1. 부키드논(Bukidnon)족

개요

  • 위치: 민다나오(Mindanao) 중북부의 부키드논(Bukidnon) 주 및 인근 지역
  • 언어: 부키드논어(Binukid), 세부아노어(Cebuano), 타갈로그어(Tagalog) 일부 사용
  • 인구: 약 100,000명 이상
  • 주요 생계: 농업, 사냥, 채집

1. 역사와 기원

부키드논족은 민다나오 중부 산악지대에서 오랜 세월 동안 살아온 부족으로, 필리핀의 다른 원주민들과 마찬가지로 말레이계(Malay) 조상에서 유래했습니다. "부키드논(Bukidnon)"이라는 이름은 **"산악 지대의 사람들"**을 뜻하며, 이들은 필리핀 식민지 시대에도 깊은 산속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이어갔습니다.

스페인 식민 통치 시기에도 부키드논족은 비교적 독립을 유지했으며, 미국과 일본 점령기 동안에도 자치적인 생활 방식을 이어갔습니다.


2. 생활 방식과 문화

(1) 주거 형태

  • 대나무와 나무로 만든 전통 가옥에서 생활하며, 가옥은 주로 산악지대에 위치합니다.
  • 일부는 현대식 주택으로 이동했지만, 전통적인 가옥 구조를 유지하는 가정도 많습니다.

(2) 경제 활동

  • 농업 중심: 벼농사, 옥수수, 고구마, 카사바 등을 재배합니다.
  • 사냥과 채집: 사슴, 멧돼지를 사냥하며, 열대 과일과 뿌리 작물을 채집합니다.
  • 수공예: 전통적인 직물 제작, 대나무 공예가 발달했습니다.

(3) 전통 복식

  • 여성들은 화려한 자수 장식이 들어간 전통 의상을 입으며, 남성들은 허리에 긴 천을 두르는 스타일을 선호합니다.

(4) 사회 구조

  • 부족장은 **다투(Datu)**라고 불리며, 마을의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3. 종교 및 신앙

  • 애니미즘(정령 숭배) 중심의 전통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의 정령을 섬깁니다.
  • 현대에는 가톨릭과 개신교 신앙을 받아들인 사람들이 많아졌지만, 전통 신앙과 결합된 형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현대 사회에서의 부키드논족

  • 일부 부키드논족은 도시로 이주하여 현대 문명을 받아들였지만, 많은 부족원들이 여전히 산악지대에서 전통적인 농경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필리핀 정부는 부족의 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 타우숄루(Tau't Bato)족

개요

  • 위치: 팔라완(Palawan) 섬 남부, 브룩스 포인트 지역
  • 언어: 팔라완어(Palawano) 계통
  • 인구: 약 200~300명 (소규모 부족)
  • 주요 생계: 수렵, 채집, 단순 농경

1. 역사와 기원

타우숄루족은 "바위 속의 사람들(People of the Rock)"이라는 뜻을 가진 부족으로, 주로 바위산과 동굴에서 거주하며 생활해 왔습니다.


2. 생활 방식과 문화

(1) 주거 형태

  • 동굴을 주요 주거지로 사용하며, 일부는 임시 가옥을 짓고 생활합니다.

(2) 경제 활동

  • 활과 창을 사용해 사냥하며, 열대 과일과 뿌리 작물을 채집합니다.

3. 종교 및 신앙

  •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부족 내 샤먼이 의식을 주관합니다.

4. 현대 사회에서의 타우숄루족

  • 필리핀 정부의 보호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일부는 현대 문명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3. 바탁(Batak)족

개요

  • 위치: 팔라완(Palawan) 섬 북동부
  • 언어: 바탁어(Batak)
  • 인구: 약 500명 이하
  • 주요 생계: 사냥, 채집, 이동형 농업

1. 생활 방식과 문화

(1) 주거 형태

  • 밀림 속에서 대나무와 나무로 만든 가옥에서 생활합니다.

(2) 경제 활동

  • 사냥과 채집을 중심으로 생활하며, 소규모 농경도 합니다.

2. 현대 사회에서의 바탁족

  • 환경 파괴와 외부인의 개입으로 인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4. 만야눼(Mamanwa)족

개요

  • 위치: 민다나오 동부 산악 지대
  • 언어: 마만와어(Mamanwa)
  • 인구: 약 5,000~10,000명
  • 주요 생계: 이동식 농업, 사냥, 채집

1. 생활 방식과 문화

(1) 경제 활동

  • 이동식 화전 농업을 하며, 사냥과 채집도 주요 생계 수단입니다.

2. 현대 사회에서의 마만와족

  • 부족의 일부는 현대 문명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5. 타사다이(Tasaday)족

개요

  • 위치: 민다나오 남코타바토 지역
  • 언어: 타사다이어(Tasaday)
  • 인구: 약 200명 내외
  • 주요 생계: 사냥, 채집

1. 생활 방식과 문화

  • 동굴에서 생활하며, 사냥과 채집을 통해 생계를 유지합니다.

2. 현대 사회에서의 타사다이족

  • 일부는 현대 사회로 편입되었지만, 부족의 전통 생활 방식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습니다.

6. 아에타(Aeta)족

개요

  • 위치: 루손 섬 산악 지역
  • 언어: 아에타어(Aeta)
  • 인구: 약 50,000명 이상
  • 주요 생계: 사냥, 채집, 농경

1. 생활 방식과 문화

  • 전통적으로 움막에서 생활하며, 일부는 현대적인 주택으로 이동했습니다.

2. 현대 사회에서의 아에타족

  • 일부는 도시로 이주하여 현대 문명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전통 문화 보존과 관련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필리핀에는 위에서 소개한 6개 부족 외에도 다양한 원주민 부족들이 존재합니다. 필리핀의 원주민 부족은 총 110개 이상의 부족으로 추정되며, 각 부족은 독자적인 문화, 언어,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소개할 만한 필리핀의 원주민 부족들


7. 이고로트(Igorot)족

개요

  • 위치: 루손(Luzon) 섬 북부 코르딜레라(Cordillera) 산맥 지역
  • 언어: 여러 방언(이반가오어, 칸카나이어 등), 일부 타갈로그어 사용
  • 인구: 약 1,500,000명 이상
  • 주요 생계: 계단식 논 농업, 사냥, 목축

역사와 기원

이고로트족은 루손 섬 북부의 코르딜레라 산맥에서 살아온 부족으로, 필리핀에서 **가장 유명한 계단식 논(Banaue Rice Terraces)**을 만든 민족입니다.

생활 방식과 문화

  • 주거 형태: 목조 가옥을 짓고 산악 지역에서 생활
  • 경제 활동: 전통적인 벼농사(계단식 논), 사냥, 가축 사육
  • 사회 구조: 부족 내 원로들이 중요한 결정을 내림
  • 전통 의상: 남성은 ‘바하그’(허리에 두르는 천), 여성은 전통 직물 치마 착용

종교 및 신앙

  • 애니미즘(정령 신앙)을 믿으며, 조상 숭배가 중요함
  • 현대에는 기독교(천주교, 개신교) 신앙이 섞여 있음

현대 사회에서의 이고로트족

  • 필리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일부는 도시로 이동하여 직업을 가지고 있음
  • 전통 문화 보존을 위해 여러 단체에서 노력 중

8. 수루 수루(Sama-Bajau)족 (바자우족, 바자오족)

개요

  • 위치: 민다나오 및 술루(Sulu) 군도, 팔라완(Palawan) 섬
  • 언어: 바자우어(Bajau), 타우수그어(Tausug) 일부 사용
  • 인구: 약 1,000,000명 이상
  • 주요 생계: 어업, 수공예(배 제작), 해양 무역

역사와 기원

수루 수루족(바자우족)은 바다에서 생활하는 ‘바다 집시(Sea Gypsies)’로 알려진 부족입니다.

생활 방식과 문화

  • 주거 형태: 보트에서 생활하는 해상 부족과, 해안 마을에서 생활하는 정착 부족으로 나뉨
  • 경제 활동: 낚시, 해산물 채집, 해양 무역, 진주 채취
  • 사회 구조: 부족장은 부족 내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역할

종교 및 신앙

  •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음(15세기 이후 이슬람화)
  • 전통적인 애니미즘 신앙도 남아 있음

현대 사회에서의 수루 수루족

  • 일부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정착 생활을 시작했지만, 많은 이들이 여전히 바다에서 이동하며 생활

9. 마노보(Manobo)족

개요

  • 위치: 민다나오(Mindanao) 전역
  • 언어: 마노보어(Manobo), 세부아노어 일부 사용
  • 인구: 약 500,000명 이상
  • 주요 생계: 농업, 수렵, 채집

역사와 기원

마노보족은 민다나오에서 가장 큰 원주민 부족 중 하나로, 여러 하위 부족(아타 마노보, 이링간 마노보 등)으로 나뉘어 있음.

생활 방식과 문화

  • 주거 형태: 대나무와 나무로 만든 가옥에서 생활
  • 경제 활동: 농업(벼, 카사바, 옥수수 재배), 사냥과 채집
  • 사회 구조: 부족 내 원로가 중요한 결정을 내림

종교 및 신앙

  • 애니미즘 중심의 신앙을 믿음
  • 자연 정령과 조상 숭배

현대 사회에서의 마노보족

  • 일부는 현대 사회로 편입되었지만, 많은 부족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

10. 타우수그(Tausug)족

개요

  • 위치: 민다나오 남부, 술루 군도(Sulu Archipelago)
  • 언어: 타우수그어(Tausug), 일부 아랍어, 타갈로그어 사용
  • 인구: 약 1,000,000명 이상
  • 주요 생계: 해상 무역, 어업, 농업

역사와 기원

타우수그족은 술루 해협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필리핀에서 가장 강력한 해양 부족 중 하나로 알려져 있음.

생활 방식과 문화

  • 주거 형태: 해안 마을에서 거주
  • 경제 활동: 무역, 수산업, 농업
  • 사회 구조: 부족 지도자가 사회적, 정치적 역할을 수행

종교 및 신앙

  • 15세기 이후 이슬람교를 믿음

현대 사회에서의 타우수그족

  • 필리핀 내 이슬람 문화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함

11. 티볼리(T’boli)족

개요

  • 위치: 민다나오 남부 소크사르젠(SOCCSKSARGEN) 지역
  • 언어: 티볼리어(T’boli)
  • 인구: 약 100,000명 이상
  • 주요 생계: 농업, 수공예(티나룩 직물 제작)

역사와 기원

티볼리족은 **"꿈의 직물"이라 불리는 티나룩(T’nalak)**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한 부족.

생활 방식과 문화

  • 주거 형태: 대나무 가옥에서 생활
  • 경제 활동: 농업(벼, 옥수수, 카사바 재배), 직물 제작
  • 사회 구조: 여성 중심 문화

종교 및 신앙

  • 애니미즘과 조상 숭배

현대 사회에서의 티볼리족

  • 전통 직물 제작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이루고 있음

결론

필리핀에는 6개 부족 외에도 이고로트족, 수루 수루족, 마노보족, 타우수그족, 티볼리족 등 다양한 부족이 있습니다. 각 부족은 독자적인 문화를 보존하면서 현대 사회와 점차 융합하고 있으며, 정부와 여러 단체에서 부족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댓글 쓰기

본 블로거 방문자(사용자)가 게시글을 작성후 문제 발생시 게시글을 삭제할 수 있으며,
또한 블로거 방문자(사용자)을 차단됨을 알려 드립니다.

다음 이전